프로젝트
-
인트로 이전 '투스' 프로젝트와 현재 프로젝트 '캐치버그' 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회고를 쓰고자 합니다. 이 회고를 쓰게 된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두 번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왜' 기술을 도입했는지, '어떤' 부분에서 지식을 얻었는지 등에 대한 피드백을 머릿속에만 넣어둔 것 같습니다. 벌써 '투스' 프로젝트에서 겪었던 고찰들에 대해 약간 희미해지는 기분이에요. 그래서 글로 정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개인적으로 번아웃이 온 것 같아요. 목표를 꾸준히 세워오며 작업을 했었는데 같이 작업해오시던 분이 서류 합격으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게 되면서 최종 테스트가 밀리면서 '아... 나도 취업해야 하는데 난 뭘 하고있지?'라는 생각에 손에 잘 안 잡히는 상황이 됐습니다..
프로젝트에 대한 회고인트로 이전 '투스' 프로젝트와 현재 프로젝트 '캐치버그' 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회고를 쓰고자 합니다. 이 회고를 쓰게 된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두 번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왜' 기술을 도입했는지, '어떤' 부분에서 지식을 얻었는지 등에 대한 피드백을 머릿속에만 넣어둔 것 같습니다. 벌써 '투스' 프로젝트에서 겪었던 고찰들에 대해 약간 희미해지는 기분이에요. 그래서 글로 정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개인적으로 번아웃이 온 것 같아요. 목표를 꾸준히 세워오며 작업을 했었는데 같이 작업해오시던 분이 서류 합격으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게 되면서 최종 테스트가 밀리면서 '아... 나도 취업해야 하는데 난 뭘 하고있지?'라는 생각에 손에 잘 안 잡히는 상황이 됐습니다..
2022.09.09 -
프로젝트의 배포 이후, 어떻게 해야 코드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제일 먼저 접했던 것은 컨퍼런스에서 소개 된 CleanCode 를 적용해 '코드를 개선하는 것' 이었는데요. (*참고했던 컨퍼런스는 Toss 개발자인 '진유림' 씨의 실무에서 바로 쓰는 Frontend Clean Code 입니다.) 안타깝게도, 이 적용법은 조금 더 공부가 필요해 보였습니다...😢 (물론 이후에 본 프로젝트 코드를 이용해 레거시를 걷어내고 클린코드 적용해 볼 예정입니다.🙌) 또 다른 방법도 있나.... 했더니 있었습니다! 크롬에서 제공하는 성능 분석 도구인 LightHouse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이 도구는 안타깝게도 로컬 PC 환경이나 해외 사이트 등을 조사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매번 성능..
성능 최적화 (1) LightHouse를 이용해 성능 최적화 해보기프로젝트의 배포 이후, 어떻게 해야 코드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제일 먼저 접했던 것은 컨퍼런스에서 소개 된 CleanCode 를 적용해 '코드를 개선하는 것' 이었는데요. (*참고했던 컨퍼런스는 Toss 개발자인 '진유림' 씨의 실무에서 바로 쓰는 Frontend Clean Code 입니다.) 안타깝게도, 이 적용법은 조금 더 공부가 필요해 보였습니다...😢 (물론 이후에 본 프로젝트 코드를 이용해 레거시를 걷어내고 클린코드 적용해 볼 예정입니다.🙌) 또 다른 방법도 있나.... 했더니 있었습니다! 크롬에서 제공하는 성능 분석 도구인 LightHouse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이 도구는 안타깝게도 로컬 PC 환경이나 해외 사이트 등을 조사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매번 성능..
2022.07.08 -
🖐 오랜만에 글을 남기게 된 이유와 최근 근황 지난 한달 간, 기획부터 각종 문서적인 설계 그리고 구현까지 굉장히 바빴다. 웹으로 기획하는 첫 프로젝트인 만큼 기본적으로 배워야 할 것들이 많았다. 특히 Rest API를 설계하고 구현하면서 잦은 수정 사항이 생기고 있다..😥 또 Axios, Redux 등을 독학하면서 프로젝트에 녹이다보니 그 과정이 조금 오래걸렸다. 1달이 지난 지금은 어느정도 사용방법도 알게됐고, 동작 과정을 얇게나마 알게되어서 현재는 개발 속도가 좀 붙었다. 걱정되는 것은 제대로 배우고 있는건지, 제대로 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리뷰해줄 튜터가 없어 너무 아쉬운 상황이다. 🖐 어떤 것을 구현했을까? 1. NavigationBar 와 next-link 를 이용한 라우팅 2. 구글, ..
[웹 서비스 프로젝트 #2] 한 달 간의 여정🖐 오랜만에 글을 남기게 된 이유와 최근 근황 지난 한달 간, 기획부터 각종 문서적인 설계 그리고 구현까지 굉장히 바빴다. 웹으로 기획하는 첫 프로젝트인 만큼 기본적으로 배워야 할 것들이 많았다. 특히 Rest API를 설계하고 구현하면서 잦은 수정 사항이 생기고 있다..😥 또 Axios, Redux 등을 독학하면서 프로젝트에 녹이다보니 그 과정이 조금 오래걸렸다. 1달이 지난 지금은 어느정도 사용방법도 알게됐고, 동작 과정을 얇게나마 알게되어서 현재는 개발 속도가 좀 붙었다. 걱정되는 것은 제대로 배우고 있는건지, 제대로 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리뷰해줄 튜터가 없어 너무 아쉬운 상황이다. 🖐 어떤 것을 구현했을까? 1. NavigationBar 와 next-link 를 이용한 라우팅 2. 구글, ..
2022.03.05 -
🖐 팀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 좀 뻔한 이야기겠지만, 학부생부터 느낀 것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배우는 실력의 폭이 정말 엄청나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구글링과 무료 강의들로 익힌 문법과 프레임워크를 좀 더 실무와 가깝게 실력을 키우고 싶었다. 🖐 어떻게 팀을 꾸리게 되었는가? 먼저, 팀을 구한 방법은 오픈카톡 이었다. 개발자 구직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궁금한 정보를 물어보기 위해 참여했던 오픈카톡 방에서 마침 프로젝트 공고가 올라왔다. 사실 이전에도 이 프로젝트와 다른 여러 프로젝트 공고가 올라왔지만 탐탁치 않았다. 프로젝트에 대한 기록을 제대로 하지 않는 프로젝트 라던지, 개발 스택이 다른 이런 이유였다. 하지만, 이번 공고는 기록 방식이 마음에 들어 먼저 연락을 해보았다. 대화를 잠깐 하고, 구인하시던 ..
[웹 서비스 프로젝트 #1] 팀 프로젝트 시작..🖐 팀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 좀 뻔한 이야기겠지만, 학부생부터 느낀 것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배우는 실력의 폭이 정말 엄청나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구글링과 무료 강의들로 익힌 문법과 프레임워크를 좀 더 실무와 가깝게 실력을 키우고 싶었다. 🖐 어떻게 팀을 꾸리게 되었는가? 먼저, 팀을 구한 방법은 오픈카톡 이었다. 개발자 구직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궁금한 정보를 물어보기 위해 참여했던 오픈카톡 방에서 마침 프로젝트 공고가 올라왔다. 사실 이전에도 이 프로젝트와 다른 여러 프로젝트 공고가 올라왔지만 탐탁치 않았다. 프로젝트에 대한 기록을 제대로 하지 않는 프로젝트 라던지, 개발 스택이 다른 이런 이유였다. 하지만, 이번 공고는 기록 방식이 마음에 들어 먼저 연락을 해보았다. 대화를 잠깐 하고, 구인하시던 ..
2022.02.08